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된다. 특히, 저밀도 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동맥경화증을 촉진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병태생리학적 이해와 치료 전략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Goldstein and Brown, 2009; Sandesara et al., 2019). 국내에서도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Song et al., 2021). 따라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원인과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의 전략을 마련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유전체 전반 연관 연구(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GWAS)는 복잡한 질병의 유전적 요인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특정 유전적 변이가 질병과 관련된 생물학적 경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밝혀내며,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심혈관 질환, 알러지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병태생리학적 이해를 증진시켜 왔다(Visscher et al., 2017; Jeon and Jin, 2019; Kong et al., 2021). 그러나 전통적인 GWAS는 유전적 변이와 복잡한 질병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사물질 기반의 유전체 전반 연관 연구(mGWAS)가 주목받고 있다. mGWAS는 유전적 변이가 대사물질 수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규명하여, 유전자와 질병 간의 연관성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대사물질은 세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거나 변형된 분자들로, 질병의 발병과 진행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이러한 대사물질 수준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GWAS에서 밝혀진 유전적 변이들이 실제로 생리학적 경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특히,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지질 대사 관련 질환에서는 특정 대사물질의 농도가 유전적 변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질병의 위험도를 예측하거나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hee et al., 2013; Kettunen et al., 2012; Karjalainen et al., 2024).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코호트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과 연관한
연구대상자는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 사업(KoGES)의 일환인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자료를 분양 받아 활용하였다(NBK-2022-045). 해당 코호트를 활용하기 위한 생명윤리에 대한 승인은 호서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1041231-211221-HR-138-01). 전체 연구대상자 8,840명 중 유전형 분석을 위한 Exome chip 분석 결과가 있는 7,03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질병-대조군의 설정은 코호트 자료에서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적이 있거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기준(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054)에 따라 총 콜레스테롤이 240 mg/dL 이상, LDL-콜레스테롤이 160 mg/dL 이상 중 하나라도 해당할 경우 고콜레스테롤혈증 질병군으로 설정하고, 이외의 대상자를 정상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질병군은 1,121명, 정상 대조군은 5,910명으로 질병-대조군 분석(case-control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양적형질 분석(quantitative trait analysis)은 해당 대상자 중 약물 복용으로 인해 콜레스테롤 수치에 영향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양적형질 분석의 임상적 특성은 Table 1에 표기하였다.
Characteristics of subject's Quantitative traits analysis with hypercholesterolemia in the Korean population
Characteristics | Quantitative traits for serum lipid | Case-control for quantitative traits analysis | ||
---|---|---|---|---|
Controls | Cases | |||
Number of subjects | 6,498 | 4,391 | 2,107 | |
Age (years ± SD) | 52.2±8.8 | 52.4±9.1 | 51.6±8.2 | < 0.001 |
Sex [number; men (%)] | 3,111 (47.9) | 2,120 (48.3) | 991 (47.0) | |
Total Cholesterol (mg/dL ± SD) | 191.0±34.5 | 181.0±27.6 | 211.9±37.8 | < 0.001 |
HDL Cholesterol (mg/dL ± SD) | 44.1±10.3 | 44.8±10.1 | 42.4±10.3 | < 0.001 |
LDL Cholesterol (mg/dL ± SD) | 120.1±31.0 | 115.0±25.2 | 131.5±38.7 | < 0.001 |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ontrols and cases were determined by the two-tailed student's
연구대상자의 유전형 분석은 Exome 영역의 분석을 위해 Illumina Human Exome Chip v1.1 (Illumina, Inc., San Diego, CA, USA) exome chip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DNA 시료는 연구대상자의 말초혈액에서 분리하였으며, 성별의 불일치가 있거나, SNP QC에서 유전형 판독 정확도가 95% 미만 과도한 heterogeneity가 있는 경우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QC 수행 후 77,472의 SNP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유전 분석에서 사용한 염색체 상의 위치는 UCSC (University of Colombo school of computing) Genome browser on human Feb, 2009 (Genome Reference Consortium Human Build 37)를 기준으로 하였다.
대사물질 분석은 MetIDQ p180 플랫폼을 활용해서 2,580명을 이용하여 135개의 마커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전형 분석에 대한 내용 및 대사물질 분석에 대한 상세 내용은 해당 자세한 내역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홈페이지 내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공개자원 상세설명에서 확인 가능하다(https://biobank.nih.go.kr/EgovPageLink.do?menuNo=32&link=main%2Fcontent%2FDistributionHR%2FControlPage).
통계 분석에는 PLINK version 1.90 beta (http://pngu.mgh.harvard.edu/~purcell/plink)을 활용하였다. 질병-대조군에 대한 유전변이의 상관 분석은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회귀 분석의 수행 시 나이와 성별, 지역을 공변수로 지정하였다. 양적형질 분석은 선형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모든 분석은 additive 유전 모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 값에 대한 유의성은 0.05 미만을 기준으로 하였다.
질병-대조군 분석을 위하여
Association results of the hypercholesterolemia case-control with
No. | CHR | BP | SNP | Gene | Consequence | Variation type | A1 | A2 | MAF | OR (95% CI) | Add |
||
---|---|---|---|---|---|---|---|---|---|---|---|---|---|
All | Case | Control | |||||||||||
1 | 19 | 45,395,266 | rs157580 | Intron | SNV | A | G | 0.435 | 0.434 | 0.435 | 0.99 (0.93~1.07) | 0.804 | |
2 | 45,395,619 | rs2075650 | Intron | SNV | G | A | 0.096 | 0.104 | 0.092 | 1.13 (1.01~1.28) | 0.040 | ||
3 | 45,410,002 | rs769449 | Intron | SNV | A | G | 0.076 | 0.088 | 0.071 | 1.26 (1.10~1.43) | 6.68.E-04 | ||
4 | 45,412,079 | rs7412 | Exon | Missense_R176C | A | G | 0.064 | 0.057 | 0.067 | 0.83 (0.72~0.97) | 0.017 | ||
5 | 45,414,451 | rs439401 | SNV | G | A | 0.389 | 0.395 | 0.387 | 1.03 (0.96~1.11) | 0.399 | |||
6 | 45,415,640 | rs445925 | Upstream | SNV | A | G | 0.084 | 0.080 | 0.086 | 0.92 (0.81~1.05) | 0.229 | ||
7 | 45,422,946 | rs4420638 | 500B downstream | SNV | G | A | 0.113 | 0.130 | 0.105 | 1.27 (1.14~1.41) | 2.44E-05 |
Abbreviations: CHR, chromosome; BP, base pair;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1, minor allele; A2, major allele; MAF, minor allele frequence; OR, odds ratio; SNV, single nucleotide variant
*Bold text indicate significance at
Quantitative traits for cholesterol with
No. | SNP |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LDL Cholesterol | |||||
---|---|---|---|---|---|---|---|---|---|
BETA ± SE | BETA ± SE | BETA ± SE | |||||||
1 | rs157580 | -1.30±0.63 | 0.038 | -0.18±0.19 | 0.335 | -1.58±0.57 | 5.15.E-03 | ||
2 | rs2075650 | 2.81±1.05 | 7.53.E-03 | -1.16±0.32 | 2.53.E-04 | 2.85±0.95 | 2.74.E-03 | ||
3 | rs769449 | 4.15±1.17 | 3.94.E-04 | -1.54±0.35 | 1.31.E-05 | 4.33±1.06 | 4.48.E-05 | ||
4 | rs7412 | -13.64±1.25 | 2.06.E-27 | 0.18±0.38 | 0.633 | -16.39±1.12 | 1.74.E-47 | ||
5 | rs439401 | -1.70±0.64 | 7.57.E-03 | -0.45±0.19 | 0.019 | -1.97±0.57 | 5.69.E-04 | ||
6 | rs445925 | -10.07±1.11 | 1.66.E-19 | -0.04±0.33 | 0.898 | -12.35±1.00 | 9.47.E-35 | ||
7 | rs4420638 | 2.39±0.98 | 0.015 | -1.33 ± 0.29 | 6.22E-06 | 2.48±0.89 | 5.13.E-03 |
Abbreviations: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Bold text indicate significance at
해당 7개의 SNP가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개의 database를 활용하여 in silico 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4). 특히 rs7421의 경우 이미 pathogenic한 SNP로 보고되어 있었으며, 단백질 변화가 미치는 임상적 영향도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1). 두 개의 SNP, rs769449와 rs439401의 경우 유전변이가 임상적 영향이 정확하게 보고된 바는 없으나, 피하지방조직에서
In silico analysis of
No. | SNP | ClinVar |
Polyphen-2 |
GTEx portal (Gene / Tissue) |
---|---|---|---|---|
1 | rs157580 | - | - | |
2 | rs2075650 | - | - | |
3 | rs769449 | Benign | - | |
4 | rs7412 | Pathogenic | Probably damaging | - |
5 | rs439401 | Warfarin response | - | |
6 | rs445925 | - | - | |
7 | rs4420638 | - | - |
*ClinVar: https://www.ncbi.nlm.nih.gov/clinvar/
**Polyphen-2: https://genetics.bwh.harvard.edu/pph2/
***GTEx portal: https://gtexportal.org/home/
해당 유전자 영역의 대사물질 연관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rs7421과 rs439401, rs445925은 다양한 형태의 혈장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 SM) 수치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5).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해당 영역의 유전자 변이를 통해
Association with
No. | SNP | SM (OH) C14:1 | SM (OH) C16:1 | SM (OH) C22:1 | SM (OH) C22:2 | SM (OH) C24:1 | |||||||||
---|---|---|---|---|---|---|---|---|---|---|---|---|---|---|---|
BETA | BETA | BETA | BETA | BETA | |||||||||||
1 | rs157580 | -0.050 | 0.106 | -0.036 | 0.053 | -0.116 | 0.126 | -0.131 | 0.037 | -0.015 | 0.082 | ||||
2 | rs2075650 | -0.090 | 0.087 | -0.054 | 0.092 | -0.124 | 0.332 | -0.268 | 0.012 | -0.016 | 0.288 | ||||
3 | rs769449 | -0.087 | 0.135 | -0.052 | 0.136 | -0.182 | 0.199 | -0.295 | 0.012 | -0.024 | 0.133 | ||||
4 | rs7412 | -0.205 | 1.10.E-03 | -0.176 | 3.27.E-06 | -0.960 | 2.7.E-10 | -0.521 | 3.76.E-05 | -0.099 | 1.37.E-08 | ||||
5 | rs439401 | -0.079 | 0.013 | -0.059 | 1.98.E-03 | -0.219 | 4.5.E-03 | -0.206 | 1.30.E-03 | -0.030 | 7.09.E-04 | ||||
6 | rs445925 | -0.197 | 4.32.E-04 | -0.149 | 1.06.E-05 | -0.794 | 4.8.E-09 | -0.438 | 1.05.E-04 | -0.082 | 1.45.E-07 | ||||
7 | rs4420638 | -0.107 | 0.030 | -0.059 | 0.047 | -0.234 | 0.050 | -0.255 | 0.010 | -0.029 | 3.71.E-02 | ||||
Continue | |||||||||||||||
SM C16:0 | SM C16:1 | SM C18:0 | SM C24:0 | SM C24:1 | SM C26:1 | ||||||||||
BETA | BETA | BETA | BETA | BETA | BETA | ||||||||||
-0.807 | 0.210 | -0.101 | 0.298 | -0.071 | 0.611 | -0.216 | 0.116 | -0.424 | 0.210 | -0.009 | 0.068 | ||||
-1.654 | 0.129 | -0.168 | 0.305 | -0.125 | 0.598 | -0.086 | 0.713 | -1.457 | 0.011 | -0.018 | 0.038 | ||||
-1.629 | 0.175 | -0.159 | 0.379 | -0.168 | 0.519 | -0.188 | 0.464 | -1.590 | 0.012 | -0.025 | 8.93.E-03 | ||||
-5.899 | 5.12.E-06 | -0.387 | 0.047 | -1.075 | 1.31.E-04 | -1.688 | 9.48E-10 | -2.867 | 2.45.E-05 | -0.035 | 8.35.E-04 | ||||
-1.801 | 5.99.E-03 | -0.211 | 0.032 | -0.290 | 0.042 | -0.392 | 5.18E-03 | -1.101 | 1.38.E-03 | -0.017 | 1.48.E-03 | ||||
-4.947 | 1.82.E-05 | -0.357 | 0.040 | -0.783 | 1.81.E-03 | -1.306 | 1.15E-07 | -2.188 | 3.08.E-04 | -0.024 | 1.05.E-02 | ||||
-1.759 | 0.083 | -0.152 | 0.318 | -0.126 | 0.567 | -0.263 | 0.226 | -1.287 | 0.016 | -0.016 | 0.046 |
*Bold text indicate significance at
스핑고마이엘린은 세포막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지질 대사와 신호 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핑고마이엘린의 혈중 농도는 심혈관 질환 및 고콜레스테롤혈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핑고마이엘린은 LDL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동맥 내막에 축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동맥경화증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Meikle et al., 2014; Borodzicz-Jażdżyk et al., 2022; Krauss, 2004).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이 질환의 복잡한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유전자와 대사물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는
GWAS는 전체 게놈을 대상으로 수많은 SNPs을 분석하여, 복잡한 질병의 유전적 기반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방법은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사전 가설 없이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 다양한 인구 집단에서 질병과 유전적 변이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유용하다(Tam et al., 2019; Schork et al., 2009). GWAS를 통해 발견된 유전적 연관성은 새로운 생물학적 경로를 밝히고, 잠재적인 진단 및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mGWAS는 기존의 GWAS보다 유전적 변이가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히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질환에서 유전자-대사물질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밝혀내는 데 매우 유용하다(Long et al., 2017; Shin et al., 2014). 이런 분석기법은 대사물질 프로파일링을 통해 질병의 기전 이해를 높이고, 새로운 치료 타겟을 식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Illig et al., 2010; Suhre et al., 2011; Demirkan et al., 2012).
특히,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에서 대사물질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과 연관 있는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bioresources from National Biobank of Korea,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public of Korea (NBK-2022-45).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Academic Research Fund of Hoseo University in 20210805
All authors declare no competing inte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