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uman
HuSaV는 NCBI accession number KP298674 4,440-6,439 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 nt)를 기준으로 2,000 nt 및 참고바이러스 6종(
RT- and nested PCR information for the detection of human
Division | PCR type | Primer information | Length (nt) | References | Remark | |||||
---|---|---|---|---|---|---|---|---|---|---|
Name | Sequence (5'→5') | Mer (nt) | Location* | |||||||
Start | End | |||||||||
Candidate RT-nested PCR primer ses in this study | RT-PCR primer set #1 | RT-PCR | SaV-F5098m | GCYTGGTTYATAGGTGGTAC | 20 | 5,098 | 5,117 | 781 | This study | SV-F11 base modified |
SaV-R5878m | CWGGTGAIMHICCATTKTCCAT | 22 | 5,857 | 5,878 | SV-R1 base modified | |||||
RT-PCR primer set #2 | RT-PCR | SaV-F5157m | AITAGTGTTTGARATGGAGGG | 21 | 5,157 | 5,177 | 435 | This study | SV-F21 base modified | |
SV-R2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2,3] | Same as reference | ||||
RT-PCR primer set #3 | RT-PCR | SaV-F5101m | TGGTTYATAGGTGGTRCAG | 19 | 5,101 | 5,119 | 778 | This study | SV-F11 base modified | |
SaV-R5878m | CWGGTGAIMHICCATTKTCCAT | 22 | 5,857 | 5,878 | SV-R1 base modified | |||||
RT-PCR primer set #4 | RT-PCR | SaV-F5101m | TGGTTYATAGGTGGTRCAG | 19 | 5,101 | 5,119 | 491 | This study | SV-F11 base modified | |
SV-R2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2,3] | Same as reference | ||||
RT-PCR primer set #5 | RT-PCR | SaV-F5098m | GCYTGGTTYATAGGTGGTAC | 20 | 5,098 | 5,117 | 494 | This study | SV-F11 base modified | |
SV-R2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2,3] | Same as reference | ||||
Nested PCR primer set #1-1 | Nested PCR | SaV-F5101m | TGGTTYATAGGTGGTRCAG | 19 | 5,101 | 5,119 | 491 | This study | SV-F11 base modified | |
SV-R2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2,3] | Same as reference | ||||
Nested PCR primer set #1-2 | SaV-F5098m | GCYTGGTTYATAGGTGGTAC | 20 | 5,098 | 5,117 | 494 | This study | SV-F11 base modified | ||
SV-R2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2,3] | Same as reference | ||||
Nested PCR primer set #1-3 | SaV-F5157m | AITAGTGTTTGARATGGAGGG | 21 | 5,157 | 5,177 | 435 | This study | SV-F21 base modified | ||
SV-R2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2,3] | Same as reference | ||||
Reference RT or RT-nested PCR primer sets | Ref.#1 | RT-PCR | SV-F21 (5157-5177) | ANTAGTGTTTGARATGGAGGG | 21 | 5,157 | 5,177 | 722 | Shigemoto et al., 2011 | |
SV-R1 (5857-5878) | CWGGTGAMACMCCATTKTCCAT | 22 | 5,857 | 5,878 | ||||||
Ref.#2 | RT-PCR | SV-F11 (5098-5117) | GCYTTGTTYATAGGTGGTAC | 20 | 5,098 | 5,117 | 781 | Oka et al., 2015 | ||
SV-R1 (5857-5878) | CWGCTGAMACMCCATTKTCCAT | 22 | 5,857 | 5,878 | ||||||
Nested PCR | SV-F21 (5157-5177) | ANTAGTGTTTGARATGGAGGG | 21 | 5,157 | 5,177 | 435 | ||||
SV-R2 (5572-5591)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
Ref.#3 | RT-PCR | SV-F11 (5098-5117) | GCYTTGTTYATAGGTGGTAC | 20 | 5,098 | 5,117 | 781 | Kitajima et al., 2010 | ||
SV-R1 (5857-5878) | CWGCTGAMACMCCATTKTCCAT | 22 | 5,857 | 5,878 | ||||||
Reference RT or RT-nested PCR primer sets | Ref.#3 | Nested PCR | 1245Rfwd (5161-5177) | TAGTGTTTGARATGGAGGG | 19 | 5,159 | 5,177 | 433 | Kitajima et al., 2010 | |
SV-R2 (5572-5591)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
Ref.#4 | RT-PCR | SLV5317 | CTCGCCACCTACRAWGCBTGGTT | 23 | 5,083 | 5,105 | 434 | Kumthip et al., 2020 | ||
SLV5749 | CGGRCYTCAAAVSTACCBCCCCA | 23 | 5,494 | 5,516 | ||||||
Ref.#5 | RT-PCR | SV-F14 (5074-) | GAACAAGCTGTGGCATGCTAC | 21 | 5,074 | 5,094 | 803 | Liu et al., 2015 | ||
SV-R14 (-5876) | GGTGAGMMYCCATTCTCCAT | 20 | 5,857 | 5,876 | ||||||
Nested PCR | SV-F22 (5154-) | SMWAWTAGTGTTTGARATG | 19 | 5,154 | 5,172 | 438 | ||||
SV-R2 (-5591) | GWGGGRTCAACMCCWGGTGG | 20 | 5,572 | 5,591 | ||||||
Ref.#6 | RT-PCR | SR80 | TGGGATTCTACACAAAACCC | 20 | 4,366 | 4,385 | 320 | Thwiny et al., 2015 | ||
JV33 | GTGTANATGCARTCATCACC | 20 | 4,666 | 4,685 | ||||||
Ref.#7 | RT-PCR | SLV5317 | CTCGCCACCTACRAWGCBTGGTT | 23 | 5,083 | 5,105 | 100 | Khamrin et al., 2011 | ||
SMP-R | CMWWCCCCTCCATYTCAAACAC | 22 | 5,161 | 5,182 |
*Based on NCBI accession number KP298674.1
개발한 PCR 및 nested PCR의 시료 검정을 위하여,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 2017-50에 따라 지하수 시료 20점을 채취, 탈리 및 농축하였으며, 최종 농축액으로부터 RNeasy Mini Kit (Qiagen, Germany)의 매뉴얼에 따라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RT-PCR은 AccuPower® RT/PCR PreMix (Bioneer, Daejeon, Korea), nested PCR은 AccuPower® HotStart PCR PreMix (Bioneer)를 사용하였고, 환경 시료에서 나타나는 비 특이적 반응억제를 위해 SL® Non-specific reaction inhibitor (LSLK, Gyeonggi, Korea) 3 μL를 포함하여 최종 20 μL volume으로 반응하였다. RT-nested PCR 결과, 20개 지하수 시료에서 분석 결과 모두 음성으로 분석됨에 따라(Fig. 3A), HuSaV plasmid의 지하수에서 추출한 핵산에 인위감염 하여 시료 내 양성인 경우의 작동 가능성 및 검출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지하수 시료#1에서 12 preps.의 total RNA를 추출하여 720 μL를 확보하였고, 45 μL RNA를 8개 새로운 tube에 분주 후 1 ng/μL plasmid 5 μL를 시작으로 10배 단계 희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RT-nested PCR 프라이머 조합을 포함한 조성물 및 조건으로 인위적 감염 시료에 대한 검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RT-PCR에서 약 10-4 수준, nested PCR에서 약 10-6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순수한 plasmid 조건 대비 시료 내에서는 검출 민감도가 약 10배 수준 감소하였다(Fig. 3B). 한편, 개발한 시험법의 밸리데이션을 위해 다른 날 다른 검사자 및 다른 기관의 연구자에 의해 특이성 및 검출 민감도 등에 대해 2회 추가 반복 시험하여 총 3회 시험 결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자료 미 제공).
한편,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RT-PCR 및 nested PCR 프라이머 조합이 반응할 수 있는 양성대조 물질을 제작하였다. 실험 시 위 양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증폭 산물의 크기를 다르게 하였고, nested PCR 증폭 후 4종류의 제한효소가 반응할 수 있는 특정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방법(Lee et al., 2011; Lee, 2013)을 적용하여 설계 후 (주) Macrogen에서 유전자 합성하였다(Fig. 4A). 제작한 양성대조 물질을 1 pg/μL로 희석 후 개발한 PCR 및 nested PCR 프라이머 조합의 반응성을 점검하였다. Nested PCR 증폭 후 산물을 EcoRV (GAT/ATC) (New England Biolabs, Boston, USA)에 처리 후, 2% agarose gel에 전기영동 하였으며 UV 하에서 분석하였다. PCR 결과 500 nt, nested PCR 결과 450 nt의 특정 밴드가 형성되었다. 1st PCR 증폭 시 781 nt, 2nd PCR 증폭 시 491 nt가 나타나는 기존 HuSaV plasmid 및 시료에서 증폭이 예상되는 HuSaV 유전자 단편의 크기와 차이가 나타났으며, 개발한 양성대조 물질은 nested PCR 증폭 산물에 제한효소 EcoRV 처리 결과 2종류 크기(322 및 172 nt)의 밴드가 나타났다(Fig. 4B). 이에 따라 개발한 양성대조 물질에서 오염이 일어나 위 양성 반응이 나타나면 1st PCR 시 크기로 검정이 가능하며, 2nd PCR 시 산물의 제한효소 EcoRV 처리로 밴드의 절단을 확인하여 위 양성에 대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임상, 식품, 지하수 및 비 소독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신속하고 특이성이 높으며, 다양한 HuSaV 포함 하위분류군의 검출이 가능한 보다 효과적인 진단용 RT-nested PCR 프라이머 조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재 HuSaV의 진단은 특이적 반응, 검출 민감도, 분석 난이도, 비용 등을 고려한 real-time qPCR, 등온증폭법(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multiplex reverse-transcription PCR 등이 보고되어 있다(Cho et al., 2018; Fukuda et al., 2006; Oka et al., 2006; Shigemoto et al., 2011). 이들 중 real-time qPCR의 경우, Taq-man probe 방법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Ponchel et al., 2003) 특이성, 검출 민감도가 높고 신속한 진단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보고(Mano et al., 2014; Botes et al., 2013; Bhullar et al., 2014) 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플랫폼은 증폭 산물로 염기서열 분석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Cho et al., 2018). 등온증폭법의 경우, 비 특이적 위 양성, 높은 비용 등의 단점이 보고되고 있는 등(Smith and Osborn, 2009) PCR 검사 기법에 다양한 장단점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연구에서 진단 방법으로 사용한 conventional PCR의 경우, 오랜 기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안정성이 검증되었고, 염기서열 분석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비용, 검사자의 숙련도, 분석 난이도 측면에서 다른 PCR 검사 기법 보다 장점을 가지고 있어, 표준검사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KCDC, 2015; KMFDS, 2015; NIER, 2016). 이에 따라 이번 연구에서는, HuSaV의 genotyping을 통한 후속 유전형 분석을 위해 conventional RT-nested PCR 방법 기반의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RT-nested PCR 프라이머는 HuSaV 38개 하위분류군의 variation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기존 보고된 PCR 프라이머 대비 RT-PCR 정방향 프라이머는 2 nt variation, RT-PCR 역방향 프라이머는 6 nt variation, nested PCR 정방향 프라이머는 2 nt variation을 커버함에 따라 기존 방법 대비 넓은 수준의 HuSaV 결합이 추정되었다(자료 미 제공).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은 모니터링 검사기간을 거쳐 향후 지하수 등 수계 환경에서 HuSaV 검출을 위한 방법 등으로 활용성이 기대된다.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of the Republic of Korea (NIER-2020-01-01-003).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