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FV 핵산은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accession number MN207061.1 (P72-73 gene)을 기준으로 Marcrogen Co. Ltd. (Seoul, Korea)에서 진합성 하였다. 또한 참고 바이러스 주[
List of LAMP based ASFV detecting methods
# | Target gene | Primer | Location | Product size (nt)* | Condition | References | |||||
---|---|---|---|---|---|---|---|---|---|---|---|
Name | Sequence (5'→3') | Length (nt) | Start | End | NCBI accession # | ||||||
1 | P72 | FIP | TGATAAAGCGCTCGCCGAAGGCGCTTTTGGTTTAATGAGAA | 41 | - | - | MH713612 | 212 | 60℃, 90 min | Dokphut et al., 2021 | |
BIP | GCTTGCATCGCAAAAGGATTTGCTATAAAACGTGACTGGC | 40 | - | - | |||||||
Floop | CTGAGGGAATAGCAAGGTTCAC | 22 | - | - | |||||||
F3 | ACTATCAGCCCCCTCTTG | 18 | 960 | 977 | |||||||
B3 | GCGTATATTGCGTCTACTGG | 20 | 766 | 785 | |||||||
2 | P72 | 4FIP | TGATCGGATACGTAACGGGATAGAGATACAGCTCTTC | 37 | - | - | MN207061.1 | 244 | 65℃, 40 min | Wu et al., 2020 (Shaanxi innolever biological technology Co. Ltd.) | |
4BIP | CCGTAACTGCTCATGGTACGTAGTGGAAGGGTAT | 34 | - | - | |||||||
4LoopF | ATAGATGAACATGCGTC | 17 | - | - | |||||||
4LoopB | AGTTCTGCAGCTCTTA | 16 | - | - | |||||||
4F3 | ACGCAGAGATAAGCTT | 16 | 1,508 | 1,523 | |||||||
4B3 | AAGGTAATCATCATCGC | 17 | 1,735 | 1,751 | |||||||
3 | FIP | GCAGAACTTTGATGGAAACTTATCGTTAAAAACATTTCCGTAACTGCT | 48 | - | - | AY261361 | 195 | 65℃, 50 min | James et al., 2010 | ||
BIP | GCTCTTACATACCCTTCCACTACGGTAATCATCATCGCACCCG | 43 | - | - | |||||||
F3 | CGTTACGTATCCGATCACATT | 21 | 102,297 | 102,317 | |||||||
B3 | TATTCCTCCCGTGGCTTC | 18 | 102,123 | 102,140 | |||||||
4 | P72 | B-FIP | CATGAGCAGTTACGGAAATGTTTTTTGTTCATCTATATCTGATATTAGCC | 50 | - | - | MH910495.1 | 212 | 63℃, 50 min | Center for animal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f Beijing | |
B-BIP | AATTTCCATCAAAGTTCTGCAGCTTTTAATCGCATTGCCTCC | 42 | - | - | |||||||
B-LB | GTAATGTGATCGGATACGTAACGG | 24 | - | - | |||||||
B-F3 | TACAGCTCTTCCAGACGC | 18 | 103,984 | 104,001 | |||||||
B-B3 | TAATCATCATCGCACCCG | 18 | 103,790 | 103,807 | |||||||
5 | P72 | A-FIP | AGCTGCAGAACTTTGATGGAAATTTAAACATTTCCGTAACTGCTCA | 46 | - | - | MH910495.1 | 208 | 63℃, 50 min | ||
A-BIP | ACGGAGGCAATGCGATTAAAATATTCCTCCCGTGGCTTC | 39 | - | - | |||||||
A-LB | CCGATGATCCGGGTGCGAT | 19 | - | - | |||||||
A-F3 | CGTATCCGATCACATTACCT | 20 | 103,932 | 103,951 | |||||||
A-B3 | ATATGACCACTGGGTTGG | 18 | 103,744 | 103,761 | |||||||
6 | No data | 63℃, 30 min & 80℃, 2 min | MmisoASFV detection kit (Mmonitor, Korea) |
*Amplicon sizes were using LAMP outer PCR primer set
평가 대상인 6종류 중 염기서열이 제공된 5개 방법(#1 ~#5)은 LAMP 아우터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 반응, 특이적 반응, 시료 검정 및 인위적 오염 기반 검출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LAMP 아우터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 반응의 조성은 AccuPower® HotStart PCR PreMix (Bioneer, Korea)를 사용하여, 프라이머 2 μL(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각각 25 pmol 1 μL), 주형 핵산 1 μL, 멸균 증류수 17 μL로 총 20 μL로 하였으며, 반응 조건은 초기 변성 95℃에서 5분, 35회 반복[변성 95℃ 45초, 결합 52.5~ 65.0℃(튜브 별 2.5℃ 간격) 60초 및 신장 72℃ 60초], 최종 신장 72℃ 5분 간 반응하였다. 결합 온도에 반응되지 않은 방법 #3과 #5는 결합 온도를 40.0~52.5℃로 하여 추가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각 방법 #1은 52.5~57.5℃, #2는 52.5~55.0, #3은 40.0~50.0℃, #4는 55.0~57.5℃ 및 #5는 40.0~50.0℃에서 아우터 프라이머에 대한 증폭 반응이 확인되었다(자료 미 제공). 방법 #1~#5에 대한 LAMP 반응을 위한 조성은 10X ThermoPol Buffer 2.5 μL(최종 농도 1X), dNTP (10 mM) 3.5 μL(최종 농도 1.4 mM), MgSO4 (100 mM) 1.5 μL(최종 농도 6 mM), 프라이머(10 pmol) 각각 1 μL(총 4.0~6.0 μL), Bst DNA Polymerase, Large Fragment (New England Biolabs, USA) 1.0 μL, 주형 핵산 1.0 μL 및 멸균 증류수를 10.5~12.5 μL로 하여 총 25 μL로 하였다. LAMP 반응 조건은 보고된 방법을 포함하여 60, 62, 63 및 65℃로 하였다. 반응 후 2% agarose gel에서 30분 간 전기 영동 후 UV 하에서 확인하였다. 방법 #1~#3에서는 모든 반응 조건에서 ASFV 특이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Table 2). 해당 방법들은 이론적으로 합성된 염기서열에 부착될 수 있었으나(자료 미 제공), kit로 제공되지 않은 매뉴얼 방식의 LAMP 원리 시험법의 한계점으로 LAMP반응에 대한 조건의 설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4는 63℃에서 #5에서는 62℃와 65℃에서 반응이 확인되었고, PCV2, PPV 및 PPrV에 대한 비 특이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음식물류폐기물 시료 20개에서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LAMP 반응이 나타난 방법 #4와 #5를 대상으로 음식물류폐기물 시료 내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시료로부터 추출한 핵산에 ASFV 핵산을 10-1 (100 pg/μL)에서 10-8 (10 ag/μL)로 인위적으로 오염 시킨 후 검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방법 #4와 #5는 음식물류폐기물 내 ASFV를 각각 10-5 (10 fg/μL)과 10-6 (1 fg/μL) 민감도 수준에서 검출되었다(Fig. 1). 한편, 방법 #6 [MmisoASFV detection kit (Mmonitor)]은 특이적 반응, 시료 검정 및 인위적 오염 기반 검출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제품의 매뉴얼에 따라 premix type으로 각 튜브에 담겨있는 Lamp Premix 15 μL, control primer 2 μL, 주형 핵산 1 μL(cf. 제품의 매뉴얼은 2 μL이지만, 평가를 위해 동일한 양의 주형 핵산을 포함), 멸균 증류수 7 μL로 하여 총 25 μL로 하여 63℃ 30분, 80℃ 2분 반응 후, 파란색은 양성, 보라색은 음성으로 판독하였다. 그 결과, 방법 #6은 ASFV 핵산에 대한 특이적 반응이 확인 및 3개 참고 바이러스 핵산에 대한 비 특이적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고, 시료 20개에 대한 반응은 모두 음성이었으며, 인위적으로 오염 기반 검출 민감도는 10-6 (1 fg/μL)로 나타났다(Fig. 2).
Evaluation of LAMP based methods for detecting of ASFV from food waste sample types
Methods | Evaluation items | Evaluation (Advantages / Disadvantages) | |||||||
---|---|---|---|---|---|---|---|---|---|
PCR Reactiona | Specificity | Sample test | Sensitivityb | Reaction time (min) | Cost (per perp., won)d | Remark | |||
1 | Dokphut et al., 2021 | Amplification | ND | ND | ND | 90c | 2,000~3,000 | Preparation and result analysis processes requires | Cannot evaluate (Need to re-examine the reaction conditions) |
2 | Shaanxi innolever biological technology Co. Ltd. | 40c | |||||||
3 | James et al., 2010 | 50c | |||||||
4 | Center for animal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f Beijing (1) | Specific | Negative | 10-5 (1 fg/μL) | 50c | Available | |||
5 | Center for animal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f Beijing (2) | 10-6 (1 fg/μL) | 50c | Recommended (ASFV detection in food waste samples at relatively low cost / about 3× slower to get results compared to method #6, relatively many preparations process requires) | |||||
6 | MmisoASFV detection kit (Mmonitor, Korea) | ND | 10-6 (1 fg/μL) | 32 | 10,313 | User-friendly & excellent reproducibility estimated | Recommended [Excellent sensitivity in food waste sample & Rapid (about 3 times) / expensive (Approximately 5 times) compared to manual methods] |
aUsing outer primers. bArtificial infection-based sensitivity. cAdditional gel-electrophoresis time (about 40~60 minutes) required. dCalculation from LAMP reaction to electrophoresis confirmation
이번 연구에서는 신속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병원체 ASFV 진단에 있어 핵산 증폭법 기반 중 가장 신속한 LAMP를 기반으로 한 방법에 대한 음식물류폐기물 시료 내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Pikalo et al. (2022)는 돼지 임상 시료에서 OIE 권장 방법인 실시간 정량 PCR (qPCR) 기반 12개 kits에 대하여 ASFV 유전자 검출을 위한 성능과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사용자 친화성, 내부 통제, 소요 시간도 포함되었다. 모든 qPCR은 서로 다른 매트릭스에서 목적에 맞게 ASFV 게놈을 검출하였고, 적합한 특이도와 민감도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내부 제어 시스템의 호환성 및 우선 순위에 따라 kit를 선택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Pikalo et al., 2022). 이번 연구에서는 6종류의 LAMP 기반 방법 중 3종류에서 특정 반응이 나타났으며, 특히 방법 #5는 저렴한 금액으로 음식물류폐기물에서 ASFV 검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고, 방법 #4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검토되었다(Table 2). 그러나, 매뉴얼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준비 과정과 결과 분석을 위한 전기 영동 과정으로 방법 #6에 비해 약 3배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전기 영동 과정은 SYBR Green 또는 hydroxynaphthol blue 등을 사용하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방법 #5를 기반으로 제품화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은 극복될 것으로 보인다(Goto et al., 2009; Lee et al., 2016). 또한, 제품으로 제공되는 #6은 매뉴얼 방법에 비해 약 3배 신속하게 음식물류폐기물에서 ASFV 검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kit로 제공되는 만큼 우수한 재현성이 추정되고, 대량의 시료를 검정하는데 있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튜브 1개 당 약 1만원이 넘는 가격은 매뉴얼 방법들에 비해 약 5배 수준이었다(Table 2). 또한, LAMP 방법들의 내부 대조군(Internal control)이 포함되지 않아 실험 설계자에 의해 별도로 설계되어야 한다.
Lee et al. (2022)은 음식물류폐기물에서 ASFV 검출에 적용될 수 있는 conventional PCR 방법을 개발 및 기존 보고된 5개 방법과 비교하였다. 몇몇 PCR 방법에서는 비 특이적 반응이 나타났고 인위적 오염 기반 검출 민감도는 약 10-5 ~ 10-7 수준이었다(Lee et al., 2022). 이번 연구에서는 방법 #5와 #6에서 모두 10-6 (1 fg/μL) 수준의 검출 민감도가 나타났다. Lee et al. (2022)의 개발 방법에 비해 약 10배 낮았고, 다른 방법들에 비해서는 약 10배 우수하거나 동등 수준 이었다. 그러나 우수한 결과를 보인 Lee et al. (2022)의 conventional PCR 방법은 음식물류폐기물부터 ASFV를 검출하는데 시료에서 총 핵산 추출 이후부터 약 175분(PCR 과정 약 135분 및 전기 영동 약 40분)이 소요되는 반면, LAMP 기반의 방법 #5와 #6은 약 100분과 32분으로 conventional PCR 기반 방법에 비해 최대 143분 수준의 반응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가 애완용 동물로부터 보고된 사례가 있는 등 사람과 동물에 상호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이 다수 출현되고 있다(Bae, 2021). ASFV는 물렁진드기(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of the Republic of Korea (NIER-2020-01-01-062).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