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대한당뇨병학회 발간 사실자료(Fact sheet)에 따르면 당뇨병 유병률은 30세 성인기준으로 570만여명(16.7%)으로 추정된다(Bae et al., 2022). 국제 당뇨병 아틀라스(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Atlas, 2021)에서도 성인 537백만명(20~79세)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며 2045년에는 783백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다(Sun et al., 2022). 당뇨병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전에 따라 제1형(인슐린 분비불능)과 제2형(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으로 널리 구분하여 연구하고 있다(Shaw et al., 2000). 당뇨병은 합병증을 동반한 만성 진행성 질병으로 환자 개인과 사회 모두에 부담을 증가시킨다. 당뇨병의 원인은 혈당증가 이외에 혈압, 비만, 건강에 해로운 식단 및 유전적, 후성유전학적 소인 및 신체활동부족 등도 발병원인이다(Zheng et al., 2017). 생활습관과 유전적 요인은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T2DM)의 중요한 발병요인이 된다(Schellenberg et al., 2013). T2DM은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주요원인이고 가족성 유전경향이 있어 운동과 식사조절법으로 질환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가 발견한 ABO 시스템은 인체장기이식과 수혈의학 발전에 매우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Landsteiner, 1900). ABO 시스템은 두 개의 탄수화물 항원인 A 항원 및 B 항원과 이 항원에 대한 항체인 anti-A 항체와 anti-B 항체로 구성되어 있다. ABO 시스템은 3가지 주요 대립유전자인 A, B, O에서 비롯된 4개의 주요그룹인 A, B, AB, O 혈액형 그룹을 형성한다. ABO 유전자좌에 위치한 A 및 B 유전자형은 α-1-3-N-acetylgalactosaminyltransferase, α-1-3-N-galactosaminyltran-ferase의 glycosyltransferase 2개를 암호화하고 글리코실전이효소(glycosyltransferase)에 의해 일련의 반응으로 A, B 항원이 촉매된다. 반면, O 유전자형에는 α-1-3-N-acetylgalacto-saminyltransferase의 활성이 파괴되어 없다(Yamamoto et al., 1990). ABO는 조직유형별로 다양하게 발현하는 데 특히, 소장과 대장에서 높게 발현된다(https://www.ncbi. nlm.nih.gov/gene/28). 야마모토(Yamamoto et al., 1990)는 혈액형 A 유전자(A transferase)의 cDNA 최초로 클론하였고 1995년에는 ABO 유전자좌(locus)에 위치한 30 kb 게놈 DNA를 분리하였는데, 사람의 엑손은 최소 7개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코딩서열은 엑손 7번에 위치한다. 흥미롭게도 혈액형과 질병의 감수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가 있으며(Glass et al., 1985; Rowe et al., 2007), 종양발생에 SNP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변이가 관여하였다는 보고도 다수 있다(Amundadottir et al., 2009; Qi et al., 2010). 실제로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유전체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중 한국인 유전체분석자료(Korean Association REsource, KARE)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를 선별하였다(Cho et al., 2009). 연구에 사용한 유전자 및 역학정보 자료는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National Biobank of Korea, NBK)에서 분양을 받아 사용하였다(KBN-2022-089).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Korean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에서 2001년 5월에 시작한 코호트 연구로서 한국인의 국민보건증진을 위한 연구일환으로 40세 이상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경기도 안산시와 안성시의 한국인 역학조사 및 유전체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료이다. 이 중에서 유전형 판독 정확도가 98% 이하이거나 누락된 유전자형 호출률(missing genotype call rate)이 4% 이상 또는 30% 초과의 이형접합성(heterozygosity)을 가지거나, 성별이 불분명한 대상자들을 제외한, 40~69세 성인 8,840명(남성: 4,182명, 여성: 4,658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제2형 당뇨병(T2DM)에 대한 환자–대조군은 결측 값(무응답 또는 결과가 존재하지 않음)에 해당하거나 약물을 복용 중이거나 당뇨병을 치료하는 사람 2,365명을 제외한 총 6,475명(남성: 3,078명, 여성: 3,397명)을 최종 분석 연구대상자로 선별하였다(Table 1). 모든 연구참여자의 혈액 검체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업무 메뉴얼의 검체 채취기준에 따라 최소 9시간 금식한 공복상태에서 채취한 혈액을 자동분석기(ADVIA 1650, Siemens, PA, USA)를 사용하여 혈당검사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상지대학교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으로부터 실험연구윤리 승인(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을 받은 후
Basic distinctive of Normal and T2DM of the Korean Association REsource (KARE) cohort
Characteristics | Quantitative trait analysis* | Case-control analysis | ||
---|---|---|---|---|
Normal | T2DM | |||
Number of subjects | 6,475 | 5,721 | 754 | |
Sex (male [%]/female [%]) | 3078(47.5)/ 3397(52.5) | 2687(47.0)/ 3034(53.0) | 391(51.9)/ 363(48.1) | 0.137 |
Age (M ± SD years) | 51.60±8.80 | 51.16±8.68 | 54.95±9.00 | 0.104 |
Body mass index (BMI) (M ± SD kg/m2) | 24.44±3.08 | 24.27±2.99 | 25.70±3.44 | <0.001 |
Blood glucose (M ± SD mg/dL) | ||||
Fasting plasma glucose | 85.38±18.90 | 81.22±6.94 | 116.92±39.71 | <0.001 |
Plasma glucose after 60 min of OGTT | 144.52±53.75 | 131.60±35.19 | 242.55±67.37 | <0.001 |
Plasma glucose after 120 min of OGTT | 117.48±51.04 | 103.17±20.62 | 226.05±46.21 | <0.001 |
Blood insulin (M ± SD IU/mL) | ||||
Fasting plasma insulin | 7.55±86 | 7.40±4.70 | 8.72±5.81 | <0.001 |
Plasma insulin after 60 min of OGTT | 31.98±31.68 | 32.52±31.77 | 27.88±30.69 | 0.027 |
Plasma insulin after 120 min of OGTT | 25.83±24.53 | 25.08±22.72 | 31.47±34.87 | <0.001 |
HbA1c (%) | 5.67±0.73 | 5.50±0.33 | 6.97±1.35 | <0.001 |
*Abbreviations: M, mean value; SD, standard deviation; T2DM, type 2 diabetes mellitus;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Control (normal), Fasting plasma glucose<100 mg/dL and Plasma glucose after 120 min of OGTT<140 mg/dL; Case (T2DM), Fasting plasma glucose≥126 mg/dL or Plasma glucose after 120 min of OGTT≥200 mg/dL or HbA1c≥6.5%,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ormal and T2DM case subjects were determined by the two-tailed Student's
연구에 사용한 모든 피실험자의 환자–대조군의 선별기준은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간한 최신 당뇨병 진료지침(Bae et al., 2022)인 한국인의 제2형 당뇨병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공복혈당 100 mg/dL 미만 및 경구 당부하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120분 후 혈당이 140 mg/ dL 미만 모두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을 정상대조군(5,721명)으로 선정했으며, 공복혈당 126 mg/dL 이상 또는 경구 당부하 검사 120분 후 혈당 200 mg/dL 이상 또는 당화혈색소(HbA1c) 6.5% 이상 중 하나라도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을 환자군(754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한 수, 분류기준인 혈중포도당(Blood glucose)과 혈중인슐린(Blood insulin)에 대한 각각의 평균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수행을 위해 한국인 유전체분석 역학조사 자료인 KARE 유전형 데이터에서 해당
염기서열 양쪽 끝 말단에서 ±5 kb씩 확장한 범위에 해당 하는 11개의 SNPs (rs8176720, rs8176681, rs514708, rs651007, rs672316, rs552148, rs474279, rs657152, rs641943, rs8176707, rs641959)들을 선택하였다(Table 2). 이 SNPs의 염색체 위치는 UCSC Genome Browser [Mar. 2006 (NCBI 36/hg18)]를 기준으로 SNPs를 표기하였다.
The association analysis of SNPs in the
No. | SNP | A1 | A2 | Function | MAF | T2DM (Controls 5,721 : Cases 754) | |||
---|---|---|---|---|---|---|---|---|---|
Controls | Cases | OR (95% CI) | Add |
||||||
1 | rs8176720 | C | T | Synonymous | 0.4354 | 0.4118 | 0.91 (0.81~1.01) | 0.0814 | |
2 | rs8176681 | C | T | Intron | 0.3066 | 0.2984 | 0.96 (0.86~1.08) | 0.5152 | |
3 | rs514708 | T | C | Intron | 0.2243 | 0.1996 | 0.86 (0.75~0.99) | 0.0300 |
|
4 | rs651007 | A | G | Upstream | 0.2560 | 0.2871 | 1.17 (1.04~1.32) | 0.0098 |
|
5 | rs672316 | C | A | Intron | 0.2247 | 0.1989 | 0.86 (0.75~0.98) | 0.0236 |
|
6 | rs552148 | A | G | Upstream | 0.2169 | 0.1902 | 0.85 (0.74~0.97) | 0.0185 |
|
7 | rs474279 | T | C | Intron | 0.2201 | 0.1930 | 0.85 (0.74~0.97) | 0.0161 |
|
8 | rs657152 | A | C | Intron | 0.4648 | 0.4987 | 1.15 (1.04~1.28) | 0.0084 |
|
9 | rs641943 | G | A | Intron | 0.2243 | 0.1996 | 0.86 (0.75~0.99) | 0.0300 |
|
10 | rs8176707 | T | G | Intron | 0.0801 | 0.0699 | 0.86 (0.69~1.06) | 0.1646 | |
11 | rs641959 | C | A | Intron | 0.2323 | 0.2080 | 0.87 (0.76~0.99) | 0.0356 |
Abbreviations: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T2DM, type 2 diabetes mellitus; A1, minor allele; A2, major allele; MAF, minor allele frequency;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Add P, additive genetic model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
염색체 9번에 위치한
UCSC Genome Browser (NCBI36/hg18)를 바탕으로 염색체 9번(9q34.2)에 위치한
연구대상자의 성별, 나이, BMI 지수, 혈당, 인슐린 및 당화혈색소(HbA1c) 등 기본적인 특징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정상인 건강대조군(Normal)의 평균연령(n=5,721)은 51세이고 제2형 당뇨병(T2DM) 환자군(T2DM)의 평균연령(n=754)은 55세였다. BMI 지수, 혈당(Blood glucose)인 공복혈당, 60분, 120분 후 경구포도당부하검사(OGTT), 혈중인슐린(Blood insulin)인 공복혈장인슐린, 60분, 120분 후 경구포도당부하검사(OGTT), 그리고 당화혈색소(HbA1c) 수치는 건강대조군과 T2DM 환자군간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Student's
조우성(additive) 유전모델 분석 결과 rs514708, rs651007, rs672316, rs552148, rs474279, rs657152, rs641943, 그리고 rs641959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한편,
(Table 3). rs651007과 rs657152는 혈당 수치들 중 공복혈당(Glu0, Glu60)과 2~3개월의 평균적인 혈당조절상태를 반영하는 당화혈색소(HbA1c)에서 소대립유전자형(minor allele)을 보유할 경우, 효과크기(effect size)가 증가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동일한 SNP인 환자–대조군 분석에서도 오즈비(Odds Ratio, OR)가 높아지는 유의성을 보여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비슷한 방식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다른 SNP인 rs514708, rs672316, rs552148 rs474279, rs641943, rs641959인 경우에도 혈당 수치(Glu0, Glu60, Glu120)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소대립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을 때, 효과크기가 감소하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이와 동일한 SNP인 환자–대조군 분석에서도 오즈비가 낮아지는 유의성을 보여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Table 2, 3, 4). 한편, rs651007과 rs657152의 경우, 혈중인슐린 수치에서 ins60, HbA1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rs657152의 경우 공복혈당에서 가장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Association analysis between the significant four SNPs in the
Traits | rs514708 | rs651007 | rs672316 | rs552148 | |||||||
---|---|---|---|---|---|---|---|---|---|---|---|
Effect size (β ± s.e) | Effect size (β ± s.e) | Effect size (β ± s.e) | Effect size (β ± s.e) | ||||||||
Blood glucose | |||||||||||
Glu0 | -1.25±0.40 | 0.0021 | 1.03±0.38 | 0.0068 | -1.28±0.40 | 0.0016 | -1.44±0.41 | 0.0004 | |||
Glu60 | -2.59±1.00 | 0.0098 | 1.90±0.94 | 0.0442 | -2.74±1.00 | 0.0061 | -3.14±1.02 | 0.0021 | |||
Glu120 | -2.04±0.95 | 0.0321 | 2.29±0.90 | 0.0106 | -2.16±0.95 | 0.0234 | -2.62±0.97 | 0.0068 | |||
HbA1C | -0.02±0.02 | 0.1500 | 0.06±0.02 | 0.0006 | -0.03±0.02 | 0.1202 | -0.04±0.02 | 0.0420 | |||
Blood insulin | |||||||||||
Ins0 | -0.06±0.09 | 0.5100 | 0.02±0.08 | 0.8216 | -0.06±0.09 | 0.5097 | -0.09±0.09 | 0.3157 | |||
Ins60 | 0.31±0.59 | 0.6057 | -2.07±0.56 | 0.0002 | 0.24±0.59 | 0.6868 | 0.32±0.60 | 0.5941 | |||
Ins120 | 0.09±0.53 | 0.8694 | -0.63±0.50 | 0.2034 | 0.02±0.53 | 0.9702 | -0.32±0.53 | 0.5524 |
Abbreviations: Glu0, fasting plasma glucose; Glu60, plasma glucose at 60 min; Glu120, plasma glucose at 120 min; HbA1c, glycosylated hemoglobin A1c; Ins0, fasting plasma insulin; Ins60, plasma insulin at 60 min; Ins120, plasma insulin at 120 min; T2DM, type 2 diabetes mellitu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
Association analysis between the significant four SNPs in the
Traits | rs474279 | rs657152 | rs641943 | rs641959 | |||||||
---|---|---|---|---|---|---|---|---|---|---|---|
Effect size (β ± s.e) | Effect size (β ± s.e) | Effect size (β ± s.e) | Effect size (β ± s.e) | ||||||||
Blood glucose | |||||||||||
Glu0 | -1.37±0.41 | 0.0007 | 1.32±0.33 | 7.27E-05 | -1.25±0.40 | 0.0021 | -1.18±0.41 | 0.0040 | |||
Glu60 | -2.94±1.01 | 0.0036 | 1.91±0.82 | 0.0204 | -2.59±1.00 | 0.0098 | -2.31±1.01 | 0.0225 | |||
Glu120 | -2.44±0.96 | 0.0109 | 1.53±0.79 | 0.0510 | -2.04±0.95 | 0.0321 | -2.13±0.96 | 0.0271 | |||
HbA1C | -0.03±0.02 | 0.0525 | 0.04±0.01 | 0.0068 | -0.02±0.02 | 0.1500 | -0.03±0.02 | 0.1226 | |||
Blood insulin | |||||||||||
Ins0 | -0.08±0.09 | 0.3529 | -0.03±0.07 | 0.6780 | -0.06±0.09 | 0.5100 | -0.08±0.09 | 0.3953 | |||
Ins60 | 0.26±0.60 | 0.6587 | -1.23±0.49 | 0.0120 | 0.31±0.59 | 0.6057 | 0.41±0.53 | 0.4957 | |||
Ins120 | -0.14±0.53 | 0.7973 | -0.94±0.43 | 0.0299 | 0.09±0.53 | 0.8694 | 0.00±0.53 | 0.9968 |
Abbreviations: Glu0, fasting plasma glucose; Glu60, plasma glucose at 60 min; Glu120, plasma glucose at 120 min; HbA1c, glycosylated hemoglobin A1c; Ins0, fasting plasma insulin; Ins60, plasma insulin at 60 min; Ins120, plasma insulin at 120 min; T2DM, type 2 diabetes mellitu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
본 연구는 염색체 9번 단완 말단(9q34.2) 부위에 위치한
유전형과 표현형의 연관성을 모아둔 전장유전체 카탈로그(GWAS catalog, (ebi.ac.uk/gwas)를 이용하여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bioresources from National Biobank of Korea,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public of Korea (KBN-2022-089).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