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디다혈증(Candidemia)은 의료관련 혈액감염(hospital associated-bloodstream infection, HA-BSI)에서 4번째로 흔한 원인이며(Bassetti et al., 2016; Kullberg and Arendrup, 2015) 과거 20년간 현저히 증가하였다(Al-Dorzi et al., 2020; Guinea, 2014; Lamoth et al., 2018). 칸디다혈증을 갖는 환자는 면역이 저하되거나, 저체중아 그리고 수술치료를 받는 경우가 흔하며(Al-Dorzi et al., 2020; Guinea, 2014; Lamoth et al., 2018), 1980년대 이후 화학요법, 이식수술 및 집중치료를 받는 환자 수의 증가와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Kao et al., 1999). 침습성 진균감염은 병원입원기간의 증가와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칸디다혈증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이 30~50%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다(Lamoth et al., 2018; Pappas et al., 2016).
진균의 혈액 내 감염(BSI)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8년간 충청북도에 있는 일개 대학병원의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칸디다의 종 분포와 항진균제 감수성 성적을 분석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8년간 충청북도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혈액배양이 의뢰된 검체에서 배양 양성인
혈액배양(Blood culture): 혈액배양이 필요하다고 결정된 환자에서 채취된 혈액을 시료로 Bact/Alert®VIRTUO® system (bioMérieux, Marcy l'Etoile, France)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양성신호가 있을 때 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사용한 혈액배양병(blood culture bottle)은 성인에서 호기성 배양병(FA Plus: bioMérioux Plus Aerobic/F medium)과 혐기성 배양병(FN Plus: bioMérioux Plus Anaerobic/F medium)을 동시에 사용하였고, 소아에서는 소아 호기성 배양병(PF Plus: bioMérioux PEDS Plus/F medium)만을 이용하였다. 양성신호가 있는 혈액배양병에서 0.1 mL의 검체를 취하여 그람염색을 하고 이어 무균조작으로 혈액한천배지(blood agar plate, Asan Pharmaceutical Co, Seoul, Korea)와 MacConkey 배지(Asan Pharmaceutical Co, Seoul, Korea)에 접종하였다. 접종액이 마르면 배지를 35℃ CO2 incubator에 넣어 18~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자라지 않은 배지는 48시간까지 추가로 배양하였다.
항진균제 감수성 시험(Antifungal susceptibility testing): 항진균제 감수성 시험은 VITEK-2 system의 YS07 card (bioMérieux, Marcy l'Etoile, France)를 이용하였고 제조사의 지시대로 감수성 시험을 하였다. 양성 혈액배양병에서 취한 검체를 혈액한천배지에 접종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자란 순수 집락을 이용하여 0.5 McFarland 균 농도로 맞추어 항진균제 감수성을 시행하였다. 각 검사의의 정도관리를 위해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표준균주
배양 결과의 백분율과 항진균제 내성률 등은 Microsoft office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항진균제 감수성(susceptible) 중간 내성(intermediate) 및 내성(resistant)의 판단 기준은 CLSI M60 (CLSI, 2017)을 따랐으며, 내성률을 분석할 때 편의상 내성과 중간 내성을 비감수성(non-susceptible)에 포함하여 감수성과 비감수성으로 구분하였다.
2016년부터 2023년까지 8년 동안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미생물은 총 21,850으로, 이 중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blood culture during 2016 to 2023 years
Microorganism | Frequency of microorganism isolated from blood culture for 8 years | ||||||||||
---|---|---|---|---|---|---|---|---|---|---|---|
2016-2019 | 2020-2023 | 2016-2023 | |||||||||
N | % | N | % | N | % | ||||||
Total |
Major |
Total |
Major |
Total |
Major |
||||||
1,678 | 17.16 | 31.76 | 1,796 | 14.88 | 26.98 | 3,474 | 15.90 | 29.10 | |||
1,290 | 13.19 | 24.42 | 1,628 | 13.49 | 24.46 | 2,918 | 13.35 | 24.44 | |||
728 | 7.44 | 13.78 | 1,066 | 8.83 | 16.01 | 1,794 | 8.21 | 15.03 | |||
523 | 5.35 | 9.90 | 659 | 5.46 | 9.90 | 1,182 | 5.41 | 9.90 | |||
307 | 3.14 | 5.81 | 448 | 3.71 | 6.73 | 755 | 3.46 | 6.32 | |||
258 | 2.64 | 4.88 | 354 | 2.93 | 5.32 | 612 | 2.80 | 5.13 | |||
207 | 2.12 | 3.92 | 300 | 2.49 | 4.51 | 507 | 2.32 | 4.25 | |||
202 | 2.07 | 3.82 | 245 | 2.03 | 3.68 | 447 | 2.05 | 3.74 | |||
90 | 0.92 | 1.70 | 161 | 1.33 | 2.42 | 251 | 1.15 | 2.10 | |||
Total | 9,779 | 54.02 | 12,071 | 55.15 | 21,850 | 54.65 |
*Percentage among total positive microorganism from blood culture
†Percentage among microorganism causing commonly bloodstream infection, which included
8년 동안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1,182
Distribution of
MO | Frequency of |
|||||||||||||
---|---|---|---|---|---|---|---|---|---|---|---|---|---|---|
2016-2017 | 2018-2019 | 2020-2021 | 2022-2023 | 2016-2023 | ||||||||||
N | % | N | % | N | % | N | % | N | % | |||||
ALB | 20 | 39.22 | 39 | 45.35 | 47 | 47.00 | 53 | 46.90 | 159 | 45.43 | ||||
GLA | 12 | 23.53 | 17 | 19.77 | 12 | 12.00 | 20 | 17.70 | 61 | 17.43 | ||||
PAR | 8 | 15.69 | 11 | 12.79 | 13 | 13.00 | 20 | 17.70 | 52 | 14.86 | ||||
TRO | 8 | 15.69 | 14 | 16.28 | 22 | 22.00 | 17 | 15.04 | 61 | 17.43 | ||||
GUI | 2 | 3.92 | 0 | 0.00 | 3 | 3.00 | 1 | 0.88 | 6 | 1.71 | ||||
KRU | 0 | 0.00 | 1 | 1.16 | 1 | 1.00 | 1 | 0.88 | 3 | 0.86 | ||||
LUS | 1 | 1.96 | 2 | 2.33 | 0 | 0.00 | 0 | 0.00 | 3 | 0.86 | ||||
CIF | 0 | 0.00 | 0 | 0.00 | 2 | 2.00 | 0 | 0.00 | 2 | 0.57 | ||||
INT | 0 | 0.00 | 0 | 0.00 | 0 | 0.00 | 1 | 0.88 | 1 | 0.29 | ||||
KEF | 0 | 0.00 | 1 | 1.16 | 0 | 0.00 | 0 | 0.00 | 1 | 0.29 | ||||
OTH | 0 | 0.00 | 1 | 1.16 | 0 | 0.00 | 0 | 0.00 | 1 | 0.29 | ||||
Total | 51 | 86 | 100 | 113 | 350 |
Abbreviations: MO, microorganisms; ALB,
8년 동안(2016-2023년) 4기간으로 나누어
350
Non-susceptible rates for antifungal agents in
Phase | MO | N | Frequency of non-susceptibility for antifungal agents non-susceptible number/test number (non-susceptible %) | |||||
---|---|---|---|---|---|---|---|---|
AMP | FCT | FLC | VRC | CAS | MCF | |||
2016-2019 | C. alb | 59 | 3/59 (5.08) | 2/59 (5.13) | 2/59 (3.39) | 1/59 (1.69) | 0 | 0 |
C. gla | 29 | 0 | 0 | 4/29 (14.81) | 1/29 (3.45) | 2/29 (6.90) | 0 | |
C. par | 19 | 1/19 (5.26) | 0 | 0 | 0 | 1/19 (5.26) | 0 | |
C. tro | 22 | 0 | 0 | 0 | 0 | 0 | 0 | |
Total | 129 | 4/129 (3.10) | 2/118 (1.69) | 6/129 (4.65) | 2/129 (1.55) | 3/129 (2.33) | 0 | |
2020-2023 | C. alb | 100 | 3/99 (3.03) | 3/100 (3.00) | 1/100 (1.00) | 12/99 (12.12) | 2/100 (2.00) | 2/100 (2.00) |
C. gla | 32 | 0 | 0 | NT | 0 | 13/32 (40.63) | 0 | |
C. par | 33 | 1/33 (3.03) | 0 | 0 | 0 | 0 | 0 | |
C. tro | 39 | 0 | 0 | 2/39 (5.13) | 1/39 (2.56) | 0 | 0 | |
Total | 204 | 4/204 (1.96) | 3/204 (1.47) | 3/172 (1.74) | 13/204 (6.37) | 15/204 (7.35) | 2/204 (0.98) | |
2016-2023 | C. alb | 159 | 6/158 (3.80) | 5/139 (3.60) | 3/159 (1.89) | 13/158 (8.23) | 2/159 (2.52) | 2/159 (1.26) |
C. gla | 61 | 0 | 0 | 4/27 (14.81) | 1/61 (1.64) | 15/61 (24.59) | 0 | |
C. par | 52 | 2/52 (3.85) | 0 | 0 | 0 | 1/52 (1.92) | 0 | |
C. tro | 51 | 0 | 0 | 2/51 (3.92) | 1/51 (1.96) | 0 | 0 | |
Total | 323 | 8/322 (2.48) | 5/292 (1.71) | 9/291 (3.09) | 15/322 (4.66) | 18/323 (5.57) | 2/323 (0.62) |
Abbreviations: N, number; MO, microorganism; AMP, amphotericin B; FCT, flucytosine; FLC, fluconazole; VRC, voriconazole; CAS, caspofungin; MCF, micafungin; C. alb;
최근 국내 9개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Kor-GLASS에 의하면 2020-21년 동안 칸디다혈증은 전체 BSI에서 4번째 흔한 원인이었다. 또한, 의료기관 연관(hospital origin) BSI의 두 번째 원인이었고 중환자실(ICU) 입원환자에서 BSI의 두 번째 원인이라고 하였다(Won et al., 2022). 본 연구에서도 8년 동안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미생물은 총 21,850 중
칸디다혈증의 원인으로
8년 동안 4구간으로 나누어
국내에서 항진균제는 2014년까지 fluconazole과 amphotericin B가 칸디다혈증의 일차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이하 NHIS)에서 echinocandin의 사용을 허가한 2014년 이후 echinocandin의 사용량이 급증하여 fluconazole 내성뿐만 아니라 echinocandin 내성까지 출현하게 되었다(Kim et al., 2021). 따라서 이들 항균제의 내성 양상에 대한 주기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323
Kor-GLASS의 보고에 의하면 2020-2021년 9개 병원에서 칸디다혈증의 항진균 감수성 검사에서 fluconazole에 대한
드물게 분리되지만 항진균제 내성이 매우 흔한
결론적으로 전세계적으로
None.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int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