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당비발효 그람음성 막대균 중
한편, 민간용법으로 감염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천연물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Lee et al., 2009; Hong, 2006; Yang et al., 2007). 천연물 중 식물에서 추출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리된 MBL-Producing
2010년 서울시 3차 의료기관에서 반복 분리 균주를 제외한 MBLPA 35주를 분양 받아 시험하였으며, 균종 동정은 전통적인 방법과 상품화된 kit (ID 32 GN system, bioMerieux, Marcy-l'Etoile, France)를 이용하였다.
건조
Imipenem 혹은 meropenem에 비감수성인 균주를 선별하여 Carbapenem-Hodge 변법 시험에 양성인 균주를 우선 선별하고, 이들 균주는 imipenem 혹은 meropenem과 EDTA + sodium mercaptoacetic acid (SMA) double disk synergy 시험(DDS)을 시행하였다(Lee et al., 2001; Lee et al., 2003). 항균제 감수성 시험을 위한 균주를 McFarland 0.5관 탁도로 조정하여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Muller-Hinton agar (Difco Laboratories, USA)에 접종한 후 imipenem 혹은 meropenem 10 μg disk와 760 μg EDTA + 2 mg SMA disk를 가장 자리가 10 mm 혹은 15 mm 간격으로 얹고 36℃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두 디스크 사이의 억제대가 커져 상승효과(synergism)이 확인되면 양성으로 판독하였다. 이들 세균은 20% skim milk에 부유하여 -70℃에 보관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LSI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18)의 권장에 따라, 항균제 최소억제농도 시험(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은 시험 세균을 104 CFU의 접종액으로 조정 후 Mueller-Hinton agar (Difco Laboratories, USA)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agar dilution method(고체한천희석법)으로 시험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항균제는 piperacillin (Wyeth, USA), ceftazidime (GlaxoSmithKline, UK), cefotaxime (Handok, Korea), imipenem (Merck Sharp & Dohme, USA), meropenem (Sumitomo, Japan), aztreonam (Bristol-Myers Squibb, USA), amikacin (Dong-A Pharmaceutical, Seoul, Korea), ciprofloxacin (Sigma-Aldrich, China), gentamicin (Chong Kun Dang, Seoul, Korea), 그리고 colistin (Sigma-Aldrich, St.louis, Mo, USA)이다.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여
임상에서 분리된 MBLPA에 대한 MIC 범위는 imipenem 1 - >128 μg/mL와 meropenem 4 - >128 μg/mL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MIC90은 각각 32 μg/mL와 >128 μg/mL이었으며, 비감수성 비율이 각각 88.6%와 100%이었다(Table 1). 이는 그람음성 세균 감염증 치료에 가장 우수한 imipenem이나 meropenem과 같은 항균제의 오남용과 plasmid나 transposon 등과 같은 mobile element 유전자에 의해 수평전달이 가능한 이유 등으로 인해 이들 carbapenem 계열 약제에 내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efotaxime과 ceftazidime의 MIC 범위는 각각 4 - >128 μg /mL과 8 - >128 μg/mL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MIC90은 모두 >128 μg/mL이었고 ceftazidime의 비감수성 비율은 97.1%이었다. Ciprofloxacin과 gentamicin의 MIC 범위는 각각 2 - >128 μg/mL과 4 - >128 μg/mL이었고 MIC90은 각각 >128 μg/mL과 128 μg/mL이었으며, 이들 항균제의 비감수성 비율은 각각 100%와 97.1%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VIM, IMP 및 SIM과 같은 MBL 유전자는 흔히 integron이라는 mobile element 유전자에 위치하고 있어 이들 유전자의 삽입과 이동 등이 용이할 뿐 아니라, integron 안에 위치하는 유전자 카세트에 aminoglycoside 계열, fluroquinolone 계열 등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 내성 유전자가 존재할 수 있어 MBLPA는 흔히 여러 종류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ntimicrobial agent | MIC (µg/mL) | % of isolatesb | |||||
---|---|---|---|---|---|---|---|
Range | 50% of strains | 90% of strains | S | I | R | ||
Chamaecyparis obtuse extract | 0.25->0.5 µL/mL | >0.5 µL/mL | >0.5 µL/mL | NAa | NA | NA | |
Imipenem | 1->128 | 16 | 32 | 11.4 | 5.7 | 82.9 | |
Meropenem | 4->128 | >128 | >128 | 0 | 5.7 | 94.3 | |
Piperacillin | 8-128 | 32 | 64 | 14.3 | 82.9 | 2.9 | |
Cefotaxime | 4->128 | >128 | >128 | NA | NA | NA | |
Ceftazidime | 8->128 | 128 | >128 | 2.9 | 5.7 | 91.4 | |
Aztreonam | 1-128 | 8 | 64 | 57.2 | 35.7 | 17.1 | |
Amikacin | 2-64 | 32 | 64 | 20.0 | 80.0 | 0 | |
Gentamicin | 4->128 | >128 | >128 | 2.9 | 0 | 97.1 | |
Ciprofloxacin | 2->128 | 64 | 128 | 0 | 2.9 | 97.1 | |
Colistin | 0.5-2 | 1 | 1 | 100 | NA | 0 |
aNA, not applicable
bS, susceptible; I, intermediate; R, resistant
MBLPA에 대한 그 외 항균제의 MIC 범위는 aztreonam 1 - 128 μg/mL, amikacin 2 - 64 μg/mL, 그리고 colistin 0.5 - 2 μg/mL이었고, MIC90은 각각 64 μg/mL, 64 μg/mL, 그리고 1 μg/mL로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이들 항균제의 MBLPA에 대한 감수성율은 각각 57.2%, 20%, 그리고 100%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감수성율을 보였으나, 이들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출현하고 있으므로, 향후 이들 약제에 대한 MBLPA 감염증 치료가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MBLPA에 대한
I thank Professor Kyungwon Lee of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or his help with strain collection.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