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TEXT SIZE

search for



CrossRef (0)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in Medium-sized Hospital among Health Care Workers
Biomed Sci Letters 2024;30:143-151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4;  https://doi.org/10.15616/BSL.2024.30.3.143
© 2024 The Korean Society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Mi-Young Kim1,* , Sang-Ha Kim2,* * , Young-Kwon Kim3,* * * , Young-Bin Yu4,†,* * * and Sunghyun Kim5,6,†,* * *

1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of DaeCheong General Hospital, Daejeon 35403, Korea
2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Daejeon 35365, Korea
3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Daejeon 35365, Korea
4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College of Medical Sciences, Konyang University, Daejeon 35365, Korea
5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46252, Korea
6Next-Generation Industrial Field-Based Specialist Program for Molecular Diagnostics, Brain Busan 21 Plus Project,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46252, Korea
Correspondence to: Sunghyun Kim.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BuildingA), 57Oryundaero, Geumjeong-gu, Busan 46252, Korea.
Tel: +82-10-6808-3245, Fax: +82-51-510-0568, e-mail: shkim0423@cup.ac.kr
Young-Bin Yu.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College of Medical Sciences, Konyang University, 158 Gwanjeodong-ro, Seo-gu, Daejeon 35365, Korea.
Tel: +82-10-4644-3126, Fax: +82-42-600-8435, e-mail: ybyoo@konyang.ac.kr

*Nurse,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 ***Professor.
Received August 22, 2024; Revised September 24, 2024; Accepted September 25,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was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in medium-sized hospital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is work wa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level of medical waste management. Th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knowledg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were that males had a lower knowledge level of medical waste than females (β=-0.272, P<0.01),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adequate medical waste containers were provided, the higher the knowledge level of medical waste management (β=0.180, P<0.05).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showed that the higher the attitude score, the higher the level of practice (β=0.465, P<0.001). It was shown that gender and sufficient provision of medical waste containers had an effect on the knowledg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and the attitude toward medical waste management was ident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practice. Individual education and train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workers, and periodic guidance and inspection of medical waste managers will be required to increase the attitude of medical workers toward medical waste management. We need to construct a management process that thoroughly separates medical waste from the beginning of the medical waste generation,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attitude toward medical waste management.
Keywords : Attitude and practice, Health care workers, Knowledge, Medium-sized hospital, Medical waste management
서 론

국내 의료폐기물은 1981년 보건복지부에서 의료법에 근거하여 외과적 시술에 의한 적출물과 죽은 태아 등에 대한 관리가 시작되어(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1981), 1999년에 감염성폐기물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면서 도구 및 거즈, 기저귀, 주사기, 플라스틱 및 병 등 생물학적 시료를 포함한 일회용품으로 관리 범위가 확대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999). 2000년에 환경부로 업무가 이전되었고, 2008년에 의료폐기물이라는 용어가 채택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8).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보건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에볼라 감염증,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및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등 감염병의 확산에 따른 병원 감염을 줄이기 위해 일회용 소모품 사용이 점차 늘어나면서 의료폐기물도 증가하고 있다(Yu et al., 2017).

의료 활동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혈액, 혈청, 체액의 혈액 관련 폐기물, 장기 및 조직의 수술 등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병리학적 폐기물, 바늘, 메스, 유리 등의 혈액이 부착된 예리한 폐기물, 병원 미생물에 관련된 검사에 사용된 폐기물, 탈지면, 거즈, 투석기와 같은 기타 혈액 등이 부착된 폐기물, 오염물이 부착된 폐기물이 포함된다(Kim and Kang, 2022). 의료폐기물은 유해성을 기준으로 유해 의료 관련 폐기물(hazardous health-care waste)과 비유해 의료 관련 폐기물(non-hazardous health-care waste)로 구분하고 있다. 유해 의료 관련 폐기물은 손상성폐기물, 감염성폐기물, 병리계폐기물, 약제폐기물, 세포독성폐기물, 화학계폐기물, 방사성폐기물 등 7가지로 분류하고 있다(Oh et al., 2017). 이 폐기물들의 약 85%는 본질적으로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되며, 약 15%는 감염성, 독성 또는 방사성 일 수 있어, 잠재적인 위험은 다양하다. 매년 약 160억 건의 주사가 투여되며, 모든 바늘과 주사기가 안전하게 폐기되는 것은 아니므로 부상과 감염의 위험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부적절한 의료폐기물 소각은 다이옥신, 퓨란 및 독성 금속을 포함한 오염 물질을 대기와 땅으로 방출할 수 있다. 세포독성 폐기물은 돌연변이, 기형, 발암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방사성 폐기물은 장단기 건강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모든 의료폐기물은 발생 시점에서 분리하여 적절하게 처리하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Borowy, 2020). 의료폐기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환경오염과 의료종사자, 환자 및 지역 사회 전체에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 태도 및 실천이 중요하다(Babanyara et al., 2020).

의료종사자는 폐기물 관리법 관련 규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준수하여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Kim and Kang, 2022). 그러나 중소병원은 의료폐기물 관리가 미흡하고, 의료폐기물의 분리배출이 많은 의료현장에서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체계적인 관리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Yu et al., 2017). 의료기관 종사들의 의식구조와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며, 지금까지 국내에서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보고되었으며, 중소병원 의료종사자들의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Lee and Shin, 2021).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의료현장에서 의료폐기물과 직접 접촉하는 중소병원 의료종사자들의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인식도를 평가하여, 의료폐기물 관리 실천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22년 10월 5일부터 10월 18일까지 D광역시에 소재한 중소병원 의료종사자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번호: KYU-2022-008-005-002) 승인을 받은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및 분석

의료폐기물과 직접 접촉하는 의료종사자들의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인식도를 설문지를 통하여 평가하였으며(Supplement), 수집된 자료는 통계 소프트웨어 R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조직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 관리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표본 t 검정, 일원배치분석(on-way ANOVA)을 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고, 의료폐기물 관리 지식, 태도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실시하였다. 잔차의 독립성 가정에 문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Durbin-Watson 통계량을 조사하였고, 다중공선성 문제를 판단하기 위해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도 조사하였다.

결 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차이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은 남성 9.61±1.46, 여성 8.49±1.44, 관리에 대한 태도는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제공 여부에서 불충분 60.75±6.87, 충분 64.65±6.50,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실천에서는 경력 1년 미만 70.88±7.44명, 1년 이상 5년 미만 66.73±5.97, 5년 이상 10년 미만 68.70±7.27, 10년 이상 70.26±6.30으로,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제공 여부에서 불충분 65.35±7.53, 충분 69.03±6.39로 나타났다(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medical waste management

Variables Category N (%) Knowledg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Attitudes toward medical waste management Practice on medical waste management




140 (100.0) Mean S.D t/F (P) Scheffe Mean S.D t/F (P) Scheffe Mean S.D t/F (P) Scheffe
Gender Women 122 (87.1) 8.49 1.44 2.441 (0.017) 64.16 6.67 0.289 (0.773) 68.43 6.75 -0.373 (0.710)
Men 18 (12.9) 9.61 1.46 63.67 6.91 69.06 6.18

Age (years) ≤29 59 (42.1) 8.46 1.43 0.196 (0.823) 64.12 6.56 2.096 (0.127) 67.85 6.36 0.606 (0.547)
≥30∼≤39 31 (22.1) 8.39 1.17 62.16 7.08 68.55 6.29
≥40 50 (35.7) 8.28 1.69 65.26 6.40 69.26 7.25

Education ≤High school 21 (15.0) 7.95 1.72 1.099 (0.336) 63.81 5.90 0.036 (0.965) 67.24 7.18 0.583 (0.559)
Junior college 49 (35.0) 8.51 1.43 64.02 6.15 68.35 6.38
≥College 70 (50.0) 8.41 1.42 64.23 7.30 69.00 6.74

Marital status Married 63 (45.0) 8.27 1.55 -0.790 (0.431) 64.81 6.59 1.151 (0.252) 68.54 7.03 0.052 (0.959)
Unmarried 77 (55.0) 8.47 1.41 63.51 6.73 68.48 6.39

Total clinical career (years) <1a 16 (11.4) 8.38 1.54 0.425 (0.735) 63.31 7.71 1.056 (0.370) 70.88 7.44 3.015 (0.032)
1≤∼<5b 59 (42.1) 8.41 1.45 63.44 6.65 66.73 5.97 b<c<d<a
5≤∼<10c 30 (21.4) 8.13 1.63 65.97 6.05 68.70 7.27
≥10d 35 (25.0) 8.54 1.36 63.94 6.71 70.26 6.30

Occupation Nurse 62 (44.3) 8.37 1.30 0.716 (0.490) 64.40 7.53 0.307 (0.736) 69.08 7.18 0.420 (0.658)
Nurse assistant 33 (23.6) 8.15 1.89 63.30 6.11 68.18 7.03
Medical engineer 45 (32.1) 8.56 1.36 64.24 5.86 67.96 5.64

Educational experience Yes 123 (87.9) 8.32 1.50 -1.334 (0.184) 64.46 6.80 1.741 (0.084) 68.63 6.76 0.605 (0.546)
No 17 (12.1) 8.82 1.19 61.47 5.08 67.59 5.97

Have guidelines Yes 132 (94.3) 8.43 1.44 1.752 (0.082) 64.21 6.61 0.858 (0.392) 68.62 6.53 0.822 (0.412)
No 8 (5.7) 7.50 1.77 62.13 7.95 66.63 8.91

Container provision Insufficient 20 (14.3) 7.70 1.72 -2.260 (0.052) 60.75 6.87 -2.463 (0.015) 65.35 7.53 -2.326 (0.021)
Enough 120 (85.7) 8.49 1.40 64.65 6.50 69.03 6.39

Punishment regulations Yes 110 (78.6) 8.45 1.46 1.171 (0.243) 64.19 6.79 0.332 (0.741) 68.89 6.59 1.309 (0.193)
No 30 (21.4) 8.10 1.52 63.73 6.32 67.10 6.84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성별과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충분 제공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이 의료폐기물에 관한 지식이 더 높고,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가 충분히 제공될수록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Table 2).

Factors affecting knowledg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Variables B SE β t P VIF
Constant 6.786 1.490 4.554 0.000
Gender -1.193 0.387 -0.272 -3.080 0.003 1.190
Age (years) -0.017 0.227 -0.010 -0.075 0.941 2.816
Education 0.215 0.193 0.107 1.116 0.266 1.389
Marital status 0.278 0.354 0.094 0.784 0.435 2.201
Total clinical career (years) 0.255 0.146 0.171 1.745 0.083 1.460
Occupation 0.252 0.165 0.149 1.528 0.129 1.439
Educational experience 0.523 0.384 0.117 1.364 0.175 1.112
Have guidelines -0.508 0.540 -0.080 -0.940 0.349 1.113
Container provision 0.754 0.357 0.180 2.110 0.037 1.106
Punishment regulations -0.453 0.303 -0.127 -1.493 0.138 1.095

F=2.313 (P<0.05), R2=0.152, adjR2 =0.086, Durbin-watson=1.706

Footnote: Gender (1=Women, 2=Men), Age (years) (1=≤29, 2=≥30~≤39, 3=≥40), Education (1=High school, 2=Junior college, 3= ≥College), Marital status (1=Married, 2=Unmarried), Total clinical career (years) (1=<1, 2=1≤~<5, 3=5≤~<10, 4=≥10), Occupation (1=Nurse, 2=Nurse assistant, 3=Medical engineer), Educational experience (1=Yes, 2=No), Have guidelines (1=Yes, 2=No), Container provision (1=Insufficient, 2=Enough), Punishment regulations (1=Yes, 2=No)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충분 제공 여부가 모형 I, II에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모형 I, II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Durbin-Watson 통계상 2.041로 2에 근사 값을 보여 잔차의 독립성에 문제가 없었고, 분산 팽창 인자(VIF)와 공차 한계도 모두 10 미만으로 작게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었다(Table 3).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medical waste management, Model Ⅰ and Model Ⅱ

Variables Model Ⅰ Model Ⅱ


B SE β t P VIF B SE β t P VIF
Constant 63.011 7.041 8.949 0.000 60.846 7.599 8.007 0.000
Gender -0.076 1.830 -0.004 -0.042 0.967 1.190 0.305 1.900 0.015 0.160 0.873 1.277
Age (years) -0.548 1.071 -0.073 -0.512 0.610 2.816 -0.543 1.073 -0.072 -0.506 0.614 2.817
Education 0.797 0.911 0.087 0.874 0.383 1.389 0.728 0.917 0.080 0.794 0.429 1.402
Marital status -1.513 1.675 -0.113 -0.903 0.368 2.201 -1.602 1.682 -0.120 -0.952 0.343 2.211
Total clinical career (years) 0.404 0.690 0.060 0.586 0.559 1.460 0.323 0.699 0.048 0.462 0.645 1.495
Occupation -0.045 0.778 -0.006 -0.058 0.954 1.439 -0.125 0.787 -0.016 -0.159 0.874 1.465
Educational experience -2.917 1.814 -0.143 -1.609 0.110 1.112 -3.084 1.829 -0.151 -1.686 0.094 1.128
Have guidelines -2.035 2.553 -0.071 -0.797 0.427 1.113 -1.873 2.566 -0.065 -0.730 0.467 1.120
Container provision 3.842 1.689 0.202 2.276 0.025 1.106 3.602 1.720 0.190 2.094 0.038 1.145
Punishment regulations 0.018 1.433 0.001 0.012 0.990 1.095 0.162 1.447 0.010 0.112 0.911 1.114
Knowledge 0.319 0.417 0.070 0.766 0.445 1.179
F=1.116 (P=0.355), R2=0.080, adjR2=0.008 F=1.064 (P=0.395), R2=0.084, adjR2=0.005, Durbin-Watson=2.041

Footnote: Gender (1=Women, 2=Men), Age (years) (1=≤29, 2=≥30~≤39, 3=≥40), Education (1=≤High school, 2=Junior college, 3=≥College), Marital status (1=Married, 2=Unmarried), Total clinical career (years) (1=<1, 2=1≤~<5, 3=5≤~<10, 4=≥10), Occupation (1=Nurse, 2=Nurse assistant, 3=Medical engineer), Educational experience (1=Yes, 2=No), Have guidelines (1=Yes, 2=No), Container provision (1=Insufficient, 2=Enough), Punishment regulations (1=Yes, 2=No)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형 I, 모형 Ⅱ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실천에서는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충분 제공 여부가 모형 I, II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모형 I, II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Durbin-Watson 통계상 2.055로 2에 근사 값을 보여 잔차의 독립성에 문제가 없었고, 분산 팽창 인자(VIF)와 공차 한계도 모두 10 미만으로 작게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었다(Table 4).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Model Ⅰ and Model Ⅱ

Variables Model Ⅰ Model Ⅱ


B SE β t P VIF B SE β t P VIF
Constant 57.140 6.983 8.183 0.000 57.417 7.552 7.603 0.000
Gender 0.675 1.815 0.034 0.372 0.711 1.190 0.626 1.888 0.032 0.332 0.741 1.277
Age (years) 0.926 1.062 0.123 0.871 0.385 2.816 0.925 1.066 0.123 0.867 0.387 2.817
Education 1.134 0.904 0.124 1.254 0.212 1.389 1.142 0.912 0.125 1.253 0.212 1.402
Marital status 1.332 1.661 0.100 0.802 0.424 2.201 1.344 1.671 0.101 0.804 0.423 2.211
Total clinical career (years) 0.675 0.684 0.100 0.987 0.326 1.460 0.685 0.695 0.102 0.987 0.326 1.495
Occupation -0.297 0.772 -0.039 -0.384 0.702 1.439 -0.286 0.782 -0.037 -0.366 0.715 1.465
Educational experience -0.647 1.798 -0.032 -0.360 0.720 1.112 -0.626 1.818 -0.031 -0.344 0.731 1.128
Have guidelines -1.207 2.532 -0.042 -0.477 0.634 1.113 -1.227 2.550 -0.043 -0.481 0.631 1.120
Container provision 3.770 1.674 0.199 2.251 0.026 1.106 3.801 1.710 0.200 2.223 0.028 1.145
Punishment regulations -1.741 1.421 -0.108 -1.226 0.223 1.095 -1.760 1.438 -0.109 -1.223 0.223 1.114
Knowledge -0.041 0.414 -0.009 -0.099 0.922 1.179
F=1.296 (P=0.240), R2=0.091, adjR2=0.021 F=1.170 (P=0.314), R2=0.091, adjR2=0.013, Durbin-Watson=2.055

Footnote: Gender (1=Women, 2=Men), Age (years) (1=≤29, 2=≥30~≤39, 3=≥40), Education (1=≤High school, 2=Junior college, 3=≥College), Marital status (1=Married, 2=Unmarried), Total clinical career (years) (1=<1, 2=1≤~<5, 3=5≤~<10, 4=≥10), Occupation (1=Nurse, 2=Nurse assistant, 3=Medical engineer), Educational experience (1=Yes, 2=No), Have guidelines (1=Yes, 2=No), Container provision (1=Insufficient, 2=Enough), Punishment regulations (1=Yes, 2=No)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형 Ⅲ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실천 모형 III에서는 태도만이 영향을 주었으며,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아졌다(Table 5).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Model Ⅲ

Variables Model Ⅲ

B SE β t P VIF
Constant 29.163 8.212 3.551 0.001
Gender 0.485 1.676 0.024 0.289 0.773 1.277
Age (years) 1.177 0.948 0.156 1.242 0.216 2.822
Education 0.804 0.811 0.088 0.991 0.323 1.409
Marital status 2.087 1.489 0.156 1.402 0.163 2.227
Total clinical career (years) 0.536 0.617 0.079 0.868 0.387 1.497
Occupation -0.228 0.694 -0.030 -0.329 0.743 1.466
Educational experience 0.806 1.632 0.040 0.494 0.622 1.153
Have guidelines -0.358 2.268 -0.013 -0.158 0.875 1.125
Container provision 2.128 1.543 0.112 1.379 0.170 1.184
Punishment regulations -1.835 1.277 -0.113 -1.437 0.153 1.114
Knowledge -0.189 0.368 -0.042 -0.513 0.609 1.185
Attitude 0.464 0.078 0.465 5.955 0.000 1.091

F=4.316 (P=0.000), R2=0.290, adjR2=0.223, Durbin-watson=2.072

Footnote: Gender (1=Women, 2=Men), Age (years) (1=≤29, 2=≥30~≤39, 3=≥40), Education (1=≤High school, 2=Junior college, 3= ≥College), Marital status (1=Married, 2=Unmarried), Total clinical career (years) (1=<1, 2=1≤~<5, 3=5≤~<10, 4=≥10), Occupation (1=Nurse, 2=Nurse assistant, 3=Medical engineer), Educational experience (1=Yes, 2=No), Have guidelines (1=Yes, 2=No), Container provision (1=Insufficient, 2=Enough), Punishment regulations (1=Yes, 2=No)


고 찰

인구 고령화와 실버산업의 발달로 매년 의료시설 및 의료폐기물 발생량이 2014년 157,000톤, 2018년 226,000톤으로 2014년 대비 43.9% 증가하였으며, 일반 의료폐기물이 176,000톤으로 약 78%를 차지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9). 최근에는 COVID-19로 인해 의료폐기물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폐기물에 대한 관리 대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Lee and Shin, 2020), COVID-19로 인한 의료폐기물의 급증은 인간과 환경 건강에도 위협을 가하며, COVID-19가 의료기관의 의료폐기물 부하를 최대 10배까지 증가시킨다고 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4). 따라서, 의료기관의 의료종사자는 의료폐기물 감염의 위험성과 심각성을 인지하고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 관리에 관한 지식의 차이는 성별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남성이 여성보다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환자의 진료와 연관된 의료종사자의 생물학적 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관행 및 태도 관련 연구에서(Jalal et al., 2021), 성별, 업무 경험, 지식수준 및 학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식수준은 의사, 간호사가 다른 의료종사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COVID-19 유행기간 동안 의료종사자의 생물학적 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관행 평가 연구결과에서도, 학력, 성별과, 근무경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Dalui et al., 2021).

대학병원 종사자의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련 연구 직종 간 차이가 있었고 임상병리사, 간호조무사보다 간호사가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연구로 대졸 이상이 고졸보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이 더 높음을 확인한 연구도 있었다(You et al., 2009). 선행 연구 결과로 유추해 보았을 때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차이는 성별기준으로 직업과 학력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You et al., 2009). 본 연구에서 조직적 특성 중 의료폐기물 교육으로 의료종사자들의 지식향상을 기여할 수 없다는 결과는 선행연구와 유사하였다.

의료폐기물 교육, 의료기관의 의료폐기물 담당자 유무에 따라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를 보였다(Yu et al., 2017). 이는 의료기관 의료폐기물 담당자의 관리 감독과 현행 의료폐기물 기준 및 방법 등에 대한 의료인 보수교육 및 지원 등이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태도와 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의료시설에 충분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를 제공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의료종사자의 생물학적 위험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관행의 연구에서는 연령,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력이 높을수록 지식수준이 높았다(Thirunavukkarasu et al., 2022). 종합병원 직원의 생물학적 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관행의 연구결과에서는 간호사의 지식수준이 위생 직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모든 병원 직원들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을 개선하여 의료폐기물 관리의 기초를 형성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Mannocci et al., 2020).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지식, 태도 및 관행을 조사한 연구(Mugabi et al., 2018)에서는 의료폐기물의 부적절한 폐기물 관리 위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므로, 의료폐기물이 발생한 시점에 분리수거를 해야 하고, 의료종사자들에게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COVID-19 환자를 돌볼 때 의료종사자들의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관행 및 태도를 조사한 연구(Jalal et al., 2021)에서도 감염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이 감염병이 유행하는 동안에는 의료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모든 의료전문가를 교육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모형 I과 모형 II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유의한 모형은 없었으나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충분 제공 여부가 모형 I과 모형 II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종사자의 생의학 폐기물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관행의 연구에서(Thirunavukkarasu et al., 2022), 작업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종합병원 의료 환경에서 근무하는 의료종사자의 태도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간호대 학생의 환경적 태도와 대학에서의 의료폐기물 관련 교육 여부가 의료폐기물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Letho et al., 2021).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를 바꾸고 관리 실천 통한 개선사례를 통해 교육을 개선안이 필요하며(Yu et al., 2017; Ha and Lee, 2019), 의료종사자의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확인하는 절차를 가지는 것으로 긍정적인 변화로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일부지역 일개 중소병원 의료종사자를 대상만으로는 전체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설문지방식으로 조사연구로 객관적 평가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찰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추후 필요한 연구로는 의료종사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교육과 훈련,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 같다.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종사자 특성에 따른 개별교육과 훈련, 의료폐기물 담당자의 주기적인 지도 및 점검이 필요할 것이며, 의료폐기물 발생 시점부터 철저히 의료폐기물을 분리하는 관리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a research fund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and by the BB21plus fund by Busan Metropolitan City and Busan Techno Park.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Babanyara YY, Abdulkadir Aliyu BA, Gana BA; Maryam Musa. Risks and Challenges of Hazardous Waste Management: Reviews and Case Studies. A Review of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Healthcare Wastes Workers (HCWS) on Medical Waste in Developing Countries. Bentham Books, Chapter. 2020. 21: 25-45.
    CrossRef
  2. Borowy I. Medical waste: the dark side of healthcare. HistCienc Saude Manguinhos. 2020. 27: 231-251.
    Pubmed CrossRef
  3. Dalui A, Banerjee S, Roy R. Assessment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bout biomedical waste management among healthcare workers during COVID-19 pandemic in a health district of West Bengal. Indian J Public Health. 2021. 65: 345-351.
    Pubmed CrossRef
  4. Ha JH, Lee HJ. Nursing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Medical Waste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9. 30: 174-182.
    CrossRef
  5. Jalal SM, Akhter F, Abdelhafez AI, Alrajeh AM. Assessment of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about Biomedical Waste Management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during COVID-19 Crises in Al-Ahsa. Healthcare. 2021. 9: 747.
    Pubmed KoreaMed CrossRef
  6. Kim YK, Kang MA. Infectious control. 2022. pp. 284-296.
  7. Lee BE, Shin MJ. A study on the revision of laws on the discharge and disposal of infectious medical waste: Focusing on revisions to the Waste Management Act and related laws. Public Social Research. 2020. 11: 143-173.
    CrossRef
  8. Lee BE, Shin MJ.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Disposition of Infectious Medical Waste. - Focusing on the Waste Management Act and related Acts. Korea Public Choice Association. 2021. 11: 143-173.
    CrossRef
  9. Letho Z, Yangdon T, Lhamo C, Limbu CB, Yoezer S, Jamtsho T, Chhetri P, Tshering D. Awareness and practice of medical waste management among healthcare providers in National Referral Hospital. PLoS One. 2021. 16: e0243817.
    Pubmed KoreaMed CrossRef
  10. Mannocci A, di Bella O, Barbato D, Castellani F, La Torre G, De Giusti M, Cimmuto AD. Assess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ealthcare personnel regarding biomedical waste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of available tools. Waste Manag Res. 2020. 38: 717-725.
    Pubmed CrossRef
  11.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edical wast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Article 1, 2008.
  12.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tes Control Act, 2019.
  13.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tes Control Act: Article 3, 1999.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Medical Act: Article 17, 1981.
  15. Mugabi B, Hattingh S, Chima SC. Assessi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healthcare workers regarding medical waste management at a tertiary hospital in Botswana: A cross-sectional quantitative study. Niger J Clin Pract. 2018. 21: 1627-1638.
    Pubmed CrossRef
  16. Oh SE, Ji KH, Park SH, Kim PK, Lee KM.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Management Systems for Medical Waste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Medical Waste Management System in Korea. 2017. 43: 532-544.
    Pubmed CrossRef
  17. Thirunavukkarasu A, Al-Hazmi AH, Dar UF, Alruwaili AM, Alsharari SD, Alazmi FA, Alruwaili SF, Alarjan AM.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owards bio-medical waste management among healthcare workers: a northern Saudi study. PeerJ. 2022. 20: e13773.
    Pubmed KoreaMed CrossRef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care waste [Internet]. [cited 2018 February].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Tonnes of COVID-19 health care waste expose urgent need to improve waste management systems [Internet]. [cited 2024 February].
  20. You HS, Yang IH, So HS. A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Knowledge, Attitude Toward,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us Waste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009. 21: 53-61.
  21. Yu SJ, HA WC, Park YM, Ha YO, Bae KH. A Study of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Busan and Kyongnam Province University Hospital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7. 11: 77-89.
    CrossRef